https://mbtitadtegood.tistory.com/naver1a2b3cdef4567gh8i9jk0lmnop12qrs3.html MBTI 맛집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5

ISTP캐릭터 영화 속 대표인물(기생충 박소담, 군함도 소지섭, 깡철이 유아인) 논리적인 실용주의자이며 '백과사전'이라는 별명이 붙는 유형인 ISTP를 대표하는 캐릭터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영화 속 대표적인 ISTP의 성격 및 성향을 나타내는 캐릭터들을 소개하고, 그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해보고자 합니다. 1. 영화 기생충-김기정(박소담) -이름은 김기정(가명은 제시카), 직업은 무직이었으나 부잣집에 미술 과외교사로 취직합니다. 학력은 고졸이고 미술대 준비생이었다가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응용미술학과'라고 속입니다. 가족으로는 아버지 김기택, 어머니 박충숙, 오빠 김기우로 4인 가족입니다. 포토샵 및 이미지 툴을 사용하는데 재능이 있으며 오빠 김기우가 부잣집에 채용되는 과정에서 오빠의 학력을 위조한 재학증명서를 완벽하게 만들 정도로 실력 있는 인물입니다. -얼마 안되는 지식으로 .. 2021. 8. 19.
드라마 '악의 꽃' 캐릭터(이 준 기, 문 채 원) MBTI 유형분석 사랑하는 부부 사이의 믿음과 진실에 대한 드라마인 '악의 꽃'의 주인공들의 캐릭터 MBTI를 분석해보려고 한다. 스릴과 살인사건 등 드라마의 전반적인 내용은 무서운 내용이 주를 이루지만, 이 드라마를 보며 느낀점은 '사랑'이라는 감정이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 어떤게 진정한 '사랑'이고 '믿음'인지에 대해 알려주는 드라마이다. 두 주인공의 MBTI유형을 통해 인물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준기(백희성역)- MBTI유형은 ISTP *인물설명: 직업은 금속공예가이다. 아내와 여섯살 난 딸이 있으며 자상하고 다정다감한 남편이다. 자신의 아버지가 '연쇄살인마'였고 본인도 누명으로 '살인'죄를 쓴 채 '도현수'라는 본인의 진짜이름을 버리고 '백희성'이라는 인물로 18년동안을 살아왔다. 자신의 삶에 항상 어둠이 있었.. 2021. 8. 8.
'슬기로 운 의사생활' 속 캐릭터(유연석, 신 현선) MBTI 분석 요즘 슬기로운 의사생활2가 방영되고 있다. 매회마다 재밌는 에피소드들이 나오는데, 1화에 나왔던 캐릭터들에 더 내용을 붙여서 볼거리가 많아졌다. 그중에서도 핫한 커플인 안정원과 장겨울 커플의 캐릭터 MBTI를 분석해보도록 하겠다. 따뜻하고 감성적인 남자와 이성적이고 실행력 강한 여자의 케미가 돋보인다. [유연석(안정원 역) : INFJ] -소아외과의사로 아이들을 인격적으로 대하고 물질적인 부분보다는 본인의 신념에 따라 살아가는 사람이다. 율제그룹 회장 아들이지만 병원의 후계자로써의 부와 명예는 그에게 별로 중요한 것이 못된다. 또한 경제적으로 어려운 환자들을 도와주는 '키다리 아저씨'역할도 몰래 하며 아이들에게 의사로써 도움이 되고자 한다. INFJ는 특히 현실적인 부분, 물질적인 부분에 대한 집착이 적.. 2021. 7. 31.
든든한 책임감 갑 'ESTJ'유형 기질, 연애와 사랑, 잔소리는 책임 못 짐 본인 스스로 책임감이 강하기에 웬만한 일을 맡겨도 잘 해내는 ESTJ유형은 일명 '사장님'스타일이 어울린다. 조그만한 구멍가게라도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관리해서 성장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오늘은 ESTJ유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ESTJ 기본성향] -ESTJ는 책임감이 강해 학창시절 학급 반장이나 선도부같은 것을 했으면 잘 했을 것이다. 약간 성격이 군대스타일이어서 각잡고 시키는 데로 열심히 하는것에 만족감을 느낀다. -책임감이 강해 본인 가족들이나 식구들을 잘 챙기려고 하는데, 그게 감정적이거나 애정표현적인것이 아닌 현실적인 안정감, 집이나 현금잔고 같은 실질적으로 가정을 지켜주는 울타리 같은것에 더 책임감을 느끼고 일을 열심히 해서 돈을 많이 벌려고 한다. 그게 가족들에 대한 본인의 책임이.. 2021. 7. 29.
MBTI - 불도저 매력의 'ENTJ'유형. 의외로 '사랑 꾼' 기질 있음 주의 드라마에서 나오는 까칠하고 도시적인 남자주인공들은 대부분 ENTJ유형을 모티브로 한 경우가 많이 보인다. 그만큼 냉철하고 이성적이지만, 사랑하는 사람에게만큼은 누구보다 감정적이 되는 반전매력을 가진 유형 ENTJ에 대해 파헤쳐보겠다. [ENTJ 기본성향] -ENTJ는 보통 겉으로 보기에도 ENTJ같아 보이는 경향이 많다. 시니컬하고 쿨할것 같고, 논리적이며 감정에 좌지우지 되지 않는 이시대의 쿨병 스타일 같달까? 음, 안좋게 말하면 약간 싸가지없어보이기도 하고, 또 어떻게보면 고양이 스타일이기도 하다. -ENTJ는 효율을 중요시한다. 특히 본인의 인생에 있어서 긴 미래까지의 계획을 큰 틀 안에서는 세워두고 움직이기에 무엇을 할 때 이것이 본인 인생에 도움이 되는일인지 아닌지 효율성을 따지는데 비중을 둔다.. 2021. 7. 29.
MBTI 유형-'ENFJ'의 기질, 추천직업, 연애스타일, 감정기복 있는 'ENFJ' 타인들의 트러블을 중재해주는 능력을 가진 ENFJ는 '트러블 메이커'가 아닌 트러블을 고쳐주는 유형이다. 사람들에 대한 애정도 있어서 마음따뜻한 유형이기도 하다. 오늘은 ENFJ유형의 기본성향과 어울리는 직업, 이상형과 사랑, 연애스타일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ENFJ의 기본성향] -외향적이고 '외교관'적인 기질이 있어 사람들 사이에서 중재를 잘 하는 기질을 가지고 있다. 다른이에 대한 감정이입도 잘하며 이타성도 있어서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기도 하다. -안그래보일 수도 있으나 의외로 ENFJ는 멘탈이 강한 편이다. 본인 스스로 자기비판적인 면이 있어서 본인이 어떠한 부분이 부족한지 개선해야될지에 대해 항상 자기를 돌아보는 면이 있다. -마음 속으로는 핵인싸가 되고 싶어한다. 사람들과 같이.. 2021. 7. 29.
드라마 '나의 아저씨' MBTI 캐릭터분석 (이선균, 아이유) 인생드라마라고 다들 극찬하는 '나의 아저씨'속의 캐릭터 2명의 MBTI를 분석해보았다. 드라마상 말하지 못했던 부분들에 대한 감정이나 행동들은 알 수 없으나, 극의 내용상, 흐름상 캐릭터들의 MBTI유형을 추측할 수 있어서 내용을 포스팅해본다. [이선균(박동훈)-INFJ] 이선균은 성실하게 하루하루 살아가는 회사원이며, 집안에서 책임감과 의무감으로 본인 가족들도 챙기지만, 정작 본인은 잘 챙기지 않는다. 겉으로 볼땐 본인의 감정에 대해 표현을 안하는 T유형 같지만, 속으로는 모든 감정을 느끼고 있는 F이다. 실제로 INFJ유형은 감정적인 유형들 중 가장 논리적이고 이성적으로 보이는 유형이다. 자기 아내가 바람을 핀 사실을 알았을때 자신이 '가치없는 인간'이라는 것을 확정받은. 사망선고같다고 느꼈다는 말을.. 2021. 7. 23.
영화 '형' 등장인물 캐릭터 MBTI 분석(조정석, 도 경수, 박 신혜) 영화 '형'속에 나오는 조정석, 도경수, 박신혜의 캐릭터 MBTI를 분석해보았다. 캐릭터 속 인물들의 대사와 행동들을 통해 유형을 추정하였고 캐릭터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유형에 대한 설명도 덧붙였다. 개인적으로 조정석의 섬세하지만 뻔한 연기가 매우 재미있고 사실적이어서 재미있는 영화이기에 추천한다. [영화 줄거리] 유도 국가대표 고두영(도경수)은 경기 도중 불의의 사고를 당하게 되고 이 소식을 들은 사기전과 10범의 형 고두식(조정석)은 아픈 동생을 돌봐야 한다는 이유를 대며 눈물로 가석방을 신청하여 석방된다. 1년 동안 보호자의 자격으로 가석방된 조정석은 사실은 도경수에 대한 걱정은 전혀 없고 본인 삶이나 살기 위해 나온 것. “형은 개뿔, 제발 내 인생에서 꺼져!” 형이 돌아오고 인생이 더 깜깜해졌다.. 2021. 7. 23.
반응형